편집/기자: [
홍옥
] 원고래원: [
CCTV뉴스
] 발표시간: [
2021-01-25 10:14:14
] 클릭: [ ] |
◉ 하루 생활비 10원, 나머지 퇴직금 장학금으로 사용
91세의 오려천은 강소 곤산 남역 부근에서 길을 잃게 되였다. 경찰은 그를 할머니가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까지 모셔다 드렸는데 문에는 “주는 것이 있으면 얻는 것이 더 많다.”는 글자가 적혀있었다.
오려천할머니
이는 경찰의 호기심을 자아냈으며 이 몇글자의 배후에는 감동의 이야기가 숨겨져있다는 것을 알게 되였다.
퇴직전에 오려천은 상해 평탄단(评弹团)의 교원이였다. 우연한 기회에 산간마을의 학교 환경을 알게 되였다. “교실이라 하지만 문도 없고 창문도 없었으며 나이 든 선생님이 홀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
그 때로부터 할머니는 아이들의 학습조건을 개변시키려고 마음 먹었다.
“나는 아이들을 위해 집을 짓고 교실을 짓는데 돈을 쓰기 싶었다.” 2015년 오려천은 단 하나 밖에 없는 상해의 집을 팔고 강소 곤산에 있는 공동주택을 사서 들었다.
나머지 절반돈은 강서 도창현 소산향에 기부하여 희망소학교를 건설했다. 2016년 오려천은 또 퇴직금으로 장학기금을 설치해 해마다 품행과 학업이 우수한 빈곤학생들에게 장학금을 발급했다.
2016년 강서 도창현 소산향 오명희망소학교 건설이 완공되자 오려천은 아이들을 만나려고 길을 떠났다. 로비를 절약하기 위해 86세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오려천은 가장 싼 일반 렬차 좌석표를 사서 3일만에 학교에 도착했다.
평소 오려천은 하루 세끼를 찐빵으로 에때운다. 어떻게 되여 모든 것을 교육 공익사업에 몸 담그게 되였는가고 묻자 오려천은 어릴 때의 경력과 관련된다고 말한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한 아주머니의 도움으로 5명의 형제자매가 살아남게 되였다고 말한다. “그의 교육에서 남을 도와주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였다.”고 오려천은 말한다. 오려천은 신체상황이 따라가기만 하면 될 수 있는 한 아이들이 공부하도록 계속 이어나아겠다고 말한다.
려천의 상황을 알게 된 사회구역에서는 오려천의 생활 도우미로 나서서 정기적으로 돌봐주겠다고 한다. / 출처: CCTV뉴스 / 편역: 홍옥
https://mp.weixin.qq.com/s/FVDetdxFbWWf4GhuDDaRc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