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기자: [
박명화
] 원고래원: [
국제방송
] 발표시간: [
2022-08-19 11:46:17
] 클릭: [ ] |
호탄(和田)―챨킬리(若羌) 철도의 첫 렬차가 신강 호탄역을 빠져나가고 있다.(2022년 6월 16일 촬영)/신화사
지난해 9월 2일,연길시 북산가두 단영(丹英)사회구역의 주민들이 활동실에서 악기 연습을 하고 있다. 단영사회구역은 조선족, 한족, 몽골족, 요족 등 9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집거구 사회구역이다. 주민들은 사회구역내에서 특색적인 민족 문체 활동을 자주 벌이며 다정히 지내고 있다.(자료사진) / 신화사
8일 오후, 제9기 내몽골자치구 우란목기(乌兰牧骑)예술절 및 흥안맹 나다무가 성대히 개막되였다. /중국넷
17일, 중공중앙 선전부가 조직한 ‘10년간의 중국’ 계렬 주제 소식공개회에서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중앙통일전선부 관계자들이 신세대 민족단결진보 사업의 성과와 조치를 소개했다. 조용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부주임은 18차 당대회이래 민족단결진보 사업은 새로운 력사적 성과를 거두었고 중국 소수민족의 인권 상황은 력사상 가장 좋은 시기에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56개 민족, 14억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통일된 다민족 국가로 민족 평등, 민족 단결, 민족 구역 자치, 여러 민족 공동 번영 발전의 정책을 펴고 있다. 조용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부주임은 당의 100년 분발 과정을 돌이켜보면 민족사무의 가장 큰 성과는 민족문제를 해결하는 중국 특색의 옳바른 길을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길에 대해 조용 부주임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중국 여러 민족은 인구와 력사, 발전 수준의 고하를 막론하고 모두 평등하다. 이런 평등은 진실하고 포괄적이고 철저한 평등이다. 여러 민족 인민의 합법적인 권익과 리익은 효과적으로 보장받고 있고 소수민족의 인권 상황은 력사상 가장 좋은 시기에 있다.”
민족 지역은 한때 중국 빈곤 퇴치 난관 공략의 난점과 중점이였다. 지난 10년간 중국의 빈곤 퇴치를 통한 초요사회 진입은 민족 지역에 력사적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조용 부주임은 민족 지역의 3,121만명 빈곤층이 모두 빈곤에서 탈퇴했고 민족지역 도시와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각각 년 평균 7.7%와 10.2% 증가했으며 서장은 지난 10년간 평균 수명이 4년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음 단계 여러 민족이 함께 현대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언급하며 조용 부주임은 산업발전, 인프라, 생태장벽의 ‘3가지 관건’을 중점적으로 틀어쥐고 민족 지역의 질 높은 발전을 촉진하며 차별화된 지역 지원 정책을 더욱 완비하고 민족 지역의 농촌진흥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방 언론은 중국이 소수민족 지역에 중국어를 보급하고 있다고 외곡했다. 이에 대해 조용 부주임은 중국의 〈헌법〉과 〈국가 공용언어 문자법〉은 국가가 통용 언어문자를 보급할 수 있는 법적 지위와 소수민족이 자체의 민족 언어를 배우고 사용할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용 부주임은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용을 지지하는 것 자체가 최선의 보호이다. 중국은 회족과 만족이 한어를 사용하는외에 53개 소수민족이 독자적인 언어가 있고 22개 소수민족이 28개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이들의 사용을 관심하고 지지하는외에 ‘중국언어 자원 데이터베이스(数据库)’를 별도로 설계하여 이런 언어와 문자를 수집·정리·개발·활용하고 있다. 총적으로 소수민족 군중들이 자체 민족의 언어를 배우고 자체 언어로 일하고 생활하는 데는 아무런 장애가 없다. 서방 언론이 의도적으로 먹칠하는 이른바 문화멸종 문제는 전혀 없다.”
최근 몇년 동안 일부 지방에서는 소수민족 대학 입시 가산점 정책을 취소했다. 기자 회견에서 장모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정책법규연구국 국장은 이 정책 개혁을 추진하는 고려 사항을 소개했다.
“한편으로는 중국의 기초교육 균형화 수준이 현저하게 향상되여 소수민족 학생들이 누리는 교육 자원이 끊임없이 최적화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발전에 따라 일부 성과 자치구에서는 자체 성과 자치구내에서 소수민족 수험생들에게 보편적 특혜성 가산점 정책을 시행해 왔는데 지금 이미 정확도가 떨어진 상황이다. 따라서 가산점 부여 지역·대상·여건을 보다 정확하게 정립해 도움이 필요한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
/국제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