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닫기

온라인 조선말 시랑송경연에 방방곡곡 애호가들 참가

편집/기자: [ 김청수 ] 원고래원: [ 길림신문 ] 발표시간: [ 2022-09-20 23:00:52 ] 클릭: [ ]

"시랑송 대중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자"는 취지로 진행되고 있는 ‘예지아컵’ 온라인중국조선족성인 시랑송경연은 올해로 제4회를 맞이하면서 9월 16일 연길 황관혼례청에서 시상식을 가졌다.

 
함께 웨치는 구호 "시랑송 대중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자!"

연변시랑송협회에서 주관하고 연변조선언어문화진흥회와 전국애심녀성포럼에서 공동 주최, 예지아과학기술집단에서 후원한 이번 경연에서 무한, 광주, 북경, 동관, 하북 경동지역 나아가 한국, 일본 등지의 중국조선족 시랑송애호가들은 열정과 령혼을 불태우며 온라인시랑송경연에 참가하였다.

 
영상으로 만나보는 대상수상자 김휘 

광주조선족녀성협회의 김휘 랑송가는 강효삼 작〈님에게 드리는 노래〉로 대상을, 연길에 살고 있는 리영언학생은 남영전 작 〈백학〉으로, 하북성 경동에 살고 있는 김혜옥은 김학송 작〈어머니의 병실〉로 각기 금상을 수상하였다.

그외에 은상 수상자로 최순희 (김학송 작 〈호칭속에 새겨진 풍경 〉), 안춘화( 박장길 작 〈자화상〉),김춘매(송미자 작 아버지와 술), 고련희, 동상 수상자로 박향춘(심수), 안홍매(연길), 신옥란(심수), 권순화(북경), 리순화(광동 혜주), 라춘의(천진) 등 10여명이 수상의 영예를 받아안았다.

 
금상 수상자 김혜옥(왼쪽 두번째) 리영언(오른쪽 두번째)

금상수상자이며 최년소 참가자인 리영언 선수는 어린 시절 시랑송을 배운 뒤로 학교공부를 하면서 줄곧 랑송의 끈을 놓지 않고 흥취로 장끼로 수준을 높여 왔다. 그는 “남영전 작 〈백학〉을 접하는 순간, 백학은 곧 우리 민족의 흰옷의 상징이고 흰옷이 바로 민족의 넋이고 얼이라고 생각하였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박장길 시인은 축사에서 “시는 령혼의 불꽃이고 시랑송은 책속에 묻힌 시를 발굴하여 그 의미와 이미지를 말과 소리와 정으로 다시 살려내는 작업”이라고 시랑송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수상자들에게 열렬한 축하를 보냈다.

수상을 넘어 우리 말 사랑으로 하나가 되는 자리에서 동상 수상자 안홍매가 읊조리는 〈넋으로 솟은 탑〉, 우수상 수상자 마순녀가 랑송하는 〈우리네 주아바이〉, 주선옥의 〈춤추는 진달래〉, 축하공연〈나와 자치주〉(김학송). 〈연변에 살리라〉(방흥국),〈나는 사랑한다〉(김태갑 작) 등 시랑송 표현은 깊은 감명을 안겨주었다. 연변시랑송협회 부회장 김영이 선보인 시랑송-무용 퍼포먼스(행위예술) 또한 시랑송의 혁신과 신선함,우아함을 아울러 선물하였다.

 
김영의 무용-시랑송 퍼포먼스(행위예술)
 
 
축하공연 〈나는 사랑한다〉

심수에서 온 〈예지아컴〉운영위원장이며 연변시랑송협회 리사장인 전명숙은 "시랑송을 통하여 우리 언어의 아름다움을 더 잘 알게 되고 시랑송을 통해 시속에 담긴 깊은 의미와 철학을 배우게 되며 우리는 어디에 살든 조선족이라는 긍지로 단합이 됩니다."라고 토로하였다.

 
2022년 ‘예지아컵’ 시랑송경연 시상식 참가자들

연변시랑송협회 송미자회장은 “래년에는 시랑송가들 위주로 왕중왕 경연을 조직하여 시랑송의 수준을 업그레이드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예지아컵시랑송경연을 지속적으로 견지하면서 시랑송의 대중문화성을 살리고 많은 사람들이 시를 노래처럼 즐기며 시속에 담긴 좋은 의미와 에너지를 대대손손 우리 말과 글로 전해가는 데 기여하리라 의지를 밝히였다.

/길림신문 김청수기자

0

관련기사 :
 
  • 정 치
  • 경 제
  • 사 회
  • 교 육
한길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