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기자: [
김룡
] 원고래원: [
길림신문
] 발표시간: [
2022-05-25 08:21:33
] 클릭: [ ] |
해체 원인은 재정악화로 인한 장시기동안의 로임체불이다. 지금까지 중경팀 선수들은 매 선수당 평균 1년 이상의 로임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팀의 감독과 선수들은 공개서한을 통해 2021년 4월 30일 전의 로임을 포기할 의사를 밝히면서 절차에 따라 주식개혁을 완수하고 구단을 살릴 것을 희망했지만 결국 팀은 해체의 운명을 피하지 못했다.
중경량강경기구락부는 연변팬들에게 많이 알려진 팀이다. 일찍 중경전위환도, 중경력범, 중경당대로 불리웠고 연변적 리호은 코치, 리걸 코치 외에도 한청송, 최영철, 원민성, 남송 등 다수의 조선족 선수들이 중경팀에서 뛰였었다. 올 시즌을 앞두고도 박도우, 남송 등 선수들이 중경팀에 입단했지만 올시즌 리그 개막을 맞이하지 못한채 팀은 해체를 맞이하게 되였다.
한편 2년전 2020년 5월 24일 료녕굉운구락부도 해체를 선포했었다.
5월 24일, 2023년 우즈베끼스딴 U20 아시안컵 예선전 조추첨에서 중국팀은 사우디아라비아, 먄마, 몰디브, 우즈베끼스딴과 A조에 편성되였다.
조추첨은 다음과 같다.
A조: 사우디아라비아(개최국), 중국, 먄마, 몰디브, 우즈베끼스딴
B조: 까타르, 바레인(개최국), 방글라데시, 네팔, 부탄
C조: 일본, 예멘, 팔레스타인, 라오스(개최국), 괌
D조: 요르단(개최국), 중국대만, 수리아, 뚜르끄메니스딴, 북마리아나군도
E조: 한국, 말레이시아, 몽골(개최국), 스리랑카
F조: 인도네시아(개최국), 윁남, 향항, 동띠모르
G조: 타이, 오만(개최국), 필리핀, 아프가니스탄
H조: 오스트랄리아, 이라크(개최국), 인도, 쿠웨이트
I조: 타지키스탄(주최), 캄보쟈, 레바논, 싱가포르
J조: 아랍추장국련방, 이란, 끼르기스스딴(개최국), 브루나이
U20 아시안컵 예선은 9월 10-18일에 열리고 중국팀의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되며 10개 조 1위와 5개 성적이 가장 좋은 조 2위가 본선에 진출한다.
한편, 이날 아시아축구련맹 U-17 아시안컵 예선 조추첨도 함께 열렸다. 중국은 오스트랄리아, 캄보쟈, 북마리아다군도와 함께 G조에 편성됐다. U-17 아시안컵 예선은 오는 10월 5일에 열리며, 중국이 속한 G조는 오스트랄리아에서 열린다. 본선은 2023년 2월에 바레인에서 16개팀이 대결하게 된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영향을 받아 취소됐다.
10월 5일 중국 VS 캄보쟈
10월 7일 북마리아다군도 VS 중국
10월 9일 오스트랄리아VS 중국
/종합 편집 김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