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닫기

복날 몸 속 습기를 빼자

편집/기자: [ 김청수 ] 원고래원: [ 中国吉林网 ] 발표시간: [ 2022-07-26 16:33:33 ] 클릭: [ ]

복날은 갑갑하고 무덥다. 중의학에서는 삼복기가 습기를 제거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본다. 과연 우리 몸 속에 있는 습기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만 습기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인가?

전문가 장경주: 의학박사, 부교수, 석사연구생지도교수. 장춘중의약대학 부속병원 교무판공실 주임, 중의내과연구실 부주임으로 교수, 림상 및 과학연구 등 업무에 근 20년을 종사하였다. 길림성중의약학회 중의일반의학전문위원회 주임위원, 중국민족의약학회 병치료분회 상무위원 겸 부비서장 등을 겸임

인체내에 습기가 정말 존재합니까?

장경주 : 습기는 실제로 존재하는데 우리가 볼 수 있는 물과 땀 등 액체 중의 습기일 뿐만 아니라 중의학에서 말하는 ‘습기’는 '6음사기 '(六淫邪气) 풍, 한, 서, 습, 조,화 중의 하나이다. 그중 습기의 위해는 두가지 면에서 나타나는 데 하나는 쉽게 침투하고 다른 하나느 종래로 단독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쉽게 다른 사악한 기운과 함께 작간을 한다. 례하면 습기와 한기가 함께 하기에 한습이라 하고 열과 함께 하여 습열이라 하며 풍과 함께 하여 풍습이라 하며 더울 서와 함께 하여 서습이라고 한다.

습기가 많으면 어떤 증상이 있는가?

장경주: 중의학에서 습기는 음사(淫邪)에 속하며 흐리고, 정체되고, 점차 가라앉는 특징이 있어 제거하기 가장 어렵다고 한다. 습기가 심한 사람은 대부분 체중이 무겁고 머리가 어지럽고 뻥뻥하며 피부나 근육에 쉽게 기름기 돌고 가려움증이 생기며 관절을 굽혔다 폈다 하기 불편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쉽게 한숨이 나가고 피곤기가 겹친다. 식욕이 떨어지고 입안이 끈적끈적하며 물도 마시기 싫어지며 지어 소변이 흐리고 대변 보기도 힘들어지고 설태가 두꺼운 등 림상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체내에 숨어 있던 습기가 계속 쌓이면서 '물주머니안에 든 것’처럼 빠져나오기 힘들어진다.

평소 어떤 습관이 습기를 많이 쌓이게 하나요?

장경주: 중의학에서 나쁜기가 침습된다는 것은 외부적 감각에서부터 내부가 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습기가 심해지는 외부적 원인은 주로 습한 곳에 오래 앉아 있거나 안개나 이슬에 오래동안 접하고 혹은 물속을 건너거나 비를 맞거나 하면서 물속작업을 오래동안 하는 데서 습기가 피부로부터 침입하게 되는 것이다.

내적 원인으로 보면 비장이 잘 움직이지 않으면서 수액을 잘 나르지 못하는 데서 습기가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중에서 많은 불량한 생활습관들이 습기를 쌓이게 한다. 수면이 부족하거나 편식을 한다든가 입맛에 따라 같은 음식만 먹는다든가 찬음식을 먹고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운동하기를 싫어한다든가 앉은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습한 환경에 머물러 있는다든가 하는 것들이 모두 습기를 쌓이게 하는 원인이 된다.

어떤 음식들이 습기를 많이 쌓이게 하는가?

장경주: 생활속에서 적지 않은 음식들이 습기과중의 원인이 된다. 례를 들면 기름에 튀기거나 구운 음식, 매운 음식, 아이스크림, 찬음료, 찬맥주 등 찬 음식, 망고, 파이내플, 듀리안 등 열대과일이며 수박을 많이 먹는다든가 여주 등 찬 음식을 많이 먹으면 습기가 몸에 찬다.

복날은 습기를 없애는 가장 좋은 시기가 옳은가?

장경주: 복날은 습기를 제거하는데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날이다. 중의경전 《황제내경》에서는 봄 여름에는 양기를 키우고 가을 겨울에는 음기를 키우며 겨울 병은 여름에 치료한다”고 하였다. 량자를 결합해 보면 삼복더위에 겨울에 난 병을 치료'하기에 좋은 것이다. 또한 복날은 온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쉽게 땀구멍이 열리고 몸속의 습기를 배출하기에도 도움이 된다.

복날에 어떻게 습기를 빼면 좋을가요?

장경주: 복날에는 땀을 내고 소변을 돕고 더위를 식히는 음식을 적당히 많이 먹을 수 있다. 례를 들면 록두, 팥, 여주, 수박, 련잎 등이다. 또한 적당한 운동으로 땀을 내고,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그고, 생강차를 적당히 마시며 흡각, 괄사, 사우나 등 방법을 리용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일상생활에서 찬 음료를 너무 많이 먹지 말고 랭장고에서 갓 꺼낸 음식을 즉시 먹지 말아야 하며 여름에 더워도 찬 음료를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춥고 습윤한 곳에서 오래 머물며 일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비를 맞거나 하는 등 행위를 피면하여 한기와 습기가 인체에 침습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뜨거운 돌우에 앉아 습기를 제거할 수 있나요?

장경주 : 해볕에 뜨거워진 돌 위에 앉아 생리통 등이 좋아졌다는 보도가 있었다. 중국의학 기초리론에 따르면 통증은 대부분 차고 응결되면 통하지 않고, 통하지 않으면 아프다'고 한다. 뜨거운 돌우에 앉아 생리통을 치료하는 과정이 바로 열을 전도하는 과정이며, 뜨끈뜨끈한 석돈자는 일종의 뜨거운 물주머니와 같다. 하여 이는 열로 한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생리통 완화에는 일정한 효과가 있지만, 습기를 제거하는 데는 퍽 효과적이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출처/ 길림일보

편역/김청수

 

0

관련기사 :
 
21세기중국정보사이트-백두넷
한길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