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의 청명과 겨울철의 동지는명절이기도 하면서 절기이기도 하다. 청명절은 답청절, 행청절 , 삼월절 , 조상제사절 등으로도 불리는데 초기 인류의 조상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화민족의 가장 성대한 조상제사날이다 . 청명은 자연과 인문이라는 두가지 의미를 모두가지고 있다 .
청명절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가지 설이 있는데 그 하나는 청명절이 처음에는 단순히 절기의 이름이였고 그것이 조상을 기리는 명절로바뀐 것은 한식절과 관련이 있다는것이다 . 진문공 (晋文公)은 한식절 다음날을 청명절로 정했던 것이다. 다른 한가지 설은 청명절이 고대 제왕 장상의 ‘묘제’의 례로부터시작되였다고 하며 이후 민간에서도 이를 모방하여 조상에게 제사를지내고 성묘를 하는 등 력대 중화민족의 고정된 풍습이 되였다는 것이다.
청명절을 잘 료해하기 위하여 먼저 한식(寒食)절의 유래를 살펴보도록 하자 . 한식절의 유래는 기본상 하나로 모여지고 있다. 그것이 바로 진문공과 개자추(介子推)의 이야기이다 . 춘추시대의 인물인 개자추는 망명해있던 진나라의공자 중이(重耳)를 위해 19년간헌신했고 중이는 마침내 진문공으로 즉위했지만 개자추에게는 아무런 벼슬도 내리지 않았으며 공신록에도 개자추의 이름이 없었다 . 분개한 개자추는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으로 들어가 은둔했고 뒤늦게 이를 깨달은 진문공이 개자추를 등용하려 했지만 그는 세상에 나오기를거부했다 . 진문공은 개자추를 나오게 하기 위해 산에 불을 질렀으나 개자추는 끝내 자기의 뜻을 굽히지 않고 불에 타죽고 말았다. 그래서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그가죽은 날에는 불을 사용하지 않고찬 음식만을 먹는 한식이 시작되였다는 것이다 .
한식절은 춘추시대 진나라의 명신이자 의사인 개자추를 기리는 날로 발전하였고 불을 금하고 찬 음식만을 먹기로 되여있었다 . 그리고 우리 나라의 4대 명절중의 하나로 당당히 자리를 굳혔었다. 청명절은 한식절보다 하루 빨리 들거나한식절과 같은 날에 들기도 하였다 . 청명은 원래 봄철의 특정 절기였을지라도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청명절은 점점 더 많은 문화와관습 특히 성묘 및 조상제사와 같은 관습에 통합되였을 것이다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청명절은 하나의 절기에서부터 큰 의미를 지닌봄철 명절로 상승하였다 . 이러한변화로 인해 청명절은 문화적 사회적 측면에서 더 높은 지위를 얻었다 . 이와 반대로 한식절은 오늘날력서에서도 그 이름을 찾아볼 수가없다.
청명절에는 그네타기와 연날리기등 활동이 있다. 그네의 력사는 매우 오랜데 처음에는 ‘천추(千秋)’라고 부르다가 꺼림직함을 피하기위해 ‘그네(秋千)’로 바뀌였다.연날리기는 청명절에 사람들이 좋아하는 활동이다. 청명날에는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날리는데 연밑이나 연줄에 색색의 작은 등들을 매달아 별처럼 반짝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