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일, 종남산은 국가로인대학 개강 첫 수업에서 전국적으로 매년마다 50~60만명의 로인이 돌연사하고 있다고 표시했다. 지금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바로 페경색으로 많은 로인들이 늘 누워서 움직이지 않다보니 하지에 혈전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혈전이 떨어지면 바로 페로 들어가서 페경색을 일으키기 쉽고 따라서 돌연사가 발생할 수 있다.
종남산은 로인들은 너무 오래동안 앉아있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신은 아무리 바빠도 한두시간 앉아있은 후 일어나서 걸어다닌다고 말했다.
전형적인 증상
◈ 갑작스러운 호흡곤난이 나타나는데 특히 활동한 다음 비교적 뚜렷하다.
◈ 흉부 통증: 흉막염성 흉통 또는 협심증과 같은 통증이 동반된다.
◈ 실신: 많은 환자들에게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다.
◈ 각혈(咯血): 량은 일반적으로 적다.
어떻게 예방해야 할가?
위험 요인을 조기에 식별하고 예방하는 것이 페경색 발생을 막는 관건이다. 일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로부터 착수할 수 있다.
▩ 정기적인 활동
한시간 앉아있었다면 일어서서 5~10분간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걷기같은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 종아리운동
이는 하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옳바른 방법은 침대에 눕거나 의자에 앉아 다리를 쭉 뻗고 긴장을 푼 다음 천천히 발끝을 우로 올려 종아리근육을 긴장시키는 것이다. 몇초 동안 유지한 후 천천히 발끝을 내려서 종아리근육을 이완시키면 된다.
▩ 심호흡과 기침
심호흡은 흉강의 용적을 확대하고 흉강의 음압(负压)을 강화하여 혈액이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가볍게 몇번 기침을 해도 흉강과 복강에 압력을 가하여 혈액이 더 잘 흐르도록 도울 수 있다.
▩ 수분 보충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면 혈액 점도를 낮추고 혈전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균형 잡힌 식단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와 과일, 잡곡을 많이 먹고 고지방, 고당분 음식 섭취를 줄이면 혈중지질 수치를 조절하고 혈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팽배신문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