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간 세계적으로 비만과 과체중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현재 성인(25세 이상)의 60%, 아동·청소년(5세─24세)의 3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랄리아 머독어린이연구소 국제연구팀은 최근 세계 204개 국가·지역 주민의 1990년부터 2021년 사이의 과체중·비만 비률을 추정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2022년부터 2050년까지의 과체중·비만을 예측,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어린이와 청소년은 비만 질환에 취약한 집단이고 비만은 청소년기 이후에는 거의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핵심”이라며 “향후 5개년 실행 계획이 즉각 수립되지 않으면 청소년의 미래는 암울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1990년─2021년 세계 204개 국가·지역의 아동·청소년(5세─14세), 청소년(15세─24세), 성인(25세 이상) 과체중·비만 비률을 추정하고 주요 국가 데이터를 포함한 최대 1,350개 데이터를 사용해 2022년─2050년 과체중·비만 변화를 예측했다.
과체중·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BMI)를 사용, 18세 이상은 과체중 BMI 25키로그람/평방메터 이상 30키로그람/평방메터 미만, 비만은 BMI 30키로그람/평방메터 이상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성인과 아동·청소년의 과체중·비만 비률이 30년간 2배 이상 증가, 과체중·비만 인구가 성인은 1990년 7억 3,100만명에서 2021년 21억 1,000만명으로, 아동·청소년은 1억 9,800만명에서 4억 9,300만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런 추세가 계속되고 비만에 대한 긴급한 정책 개혁과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2050년에는 세계 성인의 약 60%인 38억명과 아동·청소년의 3분의 1인 7억 4,600만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세계적으로 아동·청소년의 비만 증가 속도는 과체중 증가 속도를 앞지를 것으로 보이며 2022년─2030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현상은 남자 아동·청소년에서 더 두드러져 2050년 5세─14세 남자 아동·청소년의 비만률은 16.5%로 과체중 비률(12.9%)을 크게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 성인 과체중·비만 인구(2021년 기준)는 절반 이상이 중국(4억 2,000만명), 인도(1억 8,000만명), 미국(1억 7,200만명), 브라질(8,800만명), 로씨야(7,100만명), 메히꼬(5,800만명), 인도네시아(5,200만명), 애급(4,100만명) 등 8개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러나 2050년까지 비만 아동·청소년 3명중 1명(1억 3,000만명)이 북아프리카·중동과 라틴아메리카·까리브해 등 두 지역에 분포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지역이 보건·경제·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2050년 과체중·비만 인구 분포는 중국 6억 2,700만명, 인도 4억 5,000명, 미국 2억 1,400만명 등으로 예상됐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빠른 인구 증가로 그 수가 250% 이상 늘어 5억 2,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50년에는 세계 성인 비만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이미 큰 부담을 안고 있는 의료 시스템에 부담이 가중되고 나아가 자원 부족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 큰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세계적인 과체중·비만 류행을 막으려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중요한 것은 최근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체중이 더 빨리 증가하고 비만이 더 일찍 발생하며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이 더 어린 나이에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하지만 지금 행동한다면 세계 어린이·청소년의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많은 사람이 과체중에서 비만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기회가 얼마 남지 않았다.”며 “특히 저소득·중간소득 국가에서는 비만 예방이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전세계 비만률이 계속 급증함에 따라 지속가능한 세계 식량 시스템내에서 식단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영양, 신체활동, 생활환경 개선 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더 강력한 정치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