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이라 하면 대단한 음식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집에 있는 콩과 식초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식초콩은 훌륭한 건강식품중 하나이다.
식후에 7~8알씩 하루 20알 정도 섭취하면 된다.
식초는 몸 안에 쌓인 체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게 되면 당분이나 글리코겐(糖原)이 지방으로 변해 축적되여 비만이 되기 쉬운데 식초는 당질이 지방으로 변화하는 것을 막아주거나 이미 변화한 지방을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식초가 갖는 분해작용과 콩의 정화작용이 만나면 훌륭한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식초콩의 효능
1. 높은 소화흡수률
식초와 콩을 함께 먹으면 소화흡수률이 높아진다. 콩에는 량질의 단백질과 영양성분이 풍부하지만 소화흡수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식초콩 섭취를 통해 식초와 함께 먹을 경우 식초가 콩을 분해하여 체내에 흡수가 잘되도록 만들기 때문에 식초와 콩의 조화는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2. 다이어트
식초콩 속 유기산 성분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지방 산화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하여 지방이 몸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소화 속도를 늦춰 포만감 유지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 제격이다.
3. 혈당 관리
식초콩은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식초콩 속 유기산, 식이섬유는 소화 속도를 늦춰 식후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게 한다. 따라서 식초콩은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된다.
4. 피로 회복
식초의 유기산 성분은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젖산을 분해하여 근육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5. 혈관 건강
식초콩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콜레스테롤을 배출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혈관 속 중성지방과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고혈압 등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6. 갱년기 장애
콩의 이소플라본은 녀성호르몬과 류사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우울증이나 초조함, 골다공증 등의 갱년기 장애를 개선한다.
식초콩 만드는 법
검은콩 1컵과 식초 3컵을 준비한다. 검은콩은 물로 씻어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물기를 완전히 뺀 다음 건조시킨다. 중불에 10분 정도 볶은 뒤 식혀 투명한 밀페용기에 콩을 7부 정도 담고 식초를 가득 채운다.
해빛이 닿지 않는 찬 곳이나 랭장고에 넣어 3~4일 지난 후 콩이 부풀어오르면 식초를 좀더 붓고 이틀 정도 더 둔다. 랭장 보관후 한달내에 먹는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