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4版:송화강기별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1등 공신 김창남렬사, 그는 우리의 동창이였다

9년째 이어져온 추모의 발걸음

행사 참석자들 길림시 북산혁명렬사기념관에서

매년 청명절이면 길림시 북산혁명렬사릉원을 찾아 이곳에 영면한 김창남렬사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그의 빛나는 삶을 기억하는 이들이 있는데 바로 길림시조선족중학교 동창들과 로삼기(老三届) 회원들이다.

올해도 청명절을 맞아 길림조중 로삼기 회원들의 주도로 길림시조선족로인협회당총지부는 회원 59명을 인솔하여 북산혁명렬사릉원을 방문, 김창남렬사 추모 행사를 진행했다.

로삼기 하영덕 회장의 사회로 진행된 행사에서 로인협회당총지부 부서기 황정애는 추모사를 통해 김창남렬사의 업적을 되새기며 깊은 경의를 표했다. 로인협회 부회장 황성기와 로삼기 분회 부회장 손종길은 화환을 진정하고 조선족 전통 제례 풍습에 따라 제물을 올렸다. 참석자들은 정렬해 술을 따르고 절을 올리며 렬사의 명복을 빌었다.

23세의 영웅 김창남렬사는 1946년 료녕성 출생으로 1968년 3월 인민해방군 륙군 제39군 115사단 343련대 1영 1중대에 입대했다. 분대장으로 성장한 그는 1969년 심양군구 가을 군사훈련에서 한 신병이 수류탄을 잘못 던져 위험지역으로 날아가는 순간에 주변 동료들을 구하기 위해 몸을 던져 중상을 입고 안타깝게 희생됐다. 소속 부대는 그의 희생을 기려 1등 공을 수여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고작 23세였다.

영웅들의 정신은 우리의 등불

이어 참석자들은 북산렬사기념관을 방문해 혁명렬사들이 중국공산당의 정확한 지도 아래 보여준 용기와 희생정신을 되새겼다. 참석자들은 “그대들의 업적은 력사에 길이 남을 것이며 그대들의 정신은 영원히 우리를 격려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대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겠습니다.”라며 렬사의 정신을 이어받아 위대한 중국꿈의 실현에 조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전우 남제현이 전하는 김창남렬사에 대한 추억은 다음과 같다. 김창남렬사는 1966년 길림조선족중학교 고등부(로삼기)를 졸업했으며 학창시절 학생회 주석을 력임했다. 사상이 진보적이고 학생들과의 우애도 두터웠다. 동시에 학업도 우수했기에 ‘3호학생’, ‘모범공청단원’ 등 영예칭호를 받았다. 1968년 입대후 중국공산당에 가입했고 분대장으로 승진해 전우들을 인솔하다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다.

/문창호특약기자, 차영국기자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