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7版:국내·국제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국제시평]

외자기업이 ‘중국 투자’ 를 늘이는 리유

중한 (염성 )산업단지 /염성경제기술개발구

독일 폭스바겐그룹(중국) 회장 겸최고경영자 베레트는 최근 중국중앙방송총국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중국을 위하는’ 전략을 통해 중국 고객의 수요에 맞는 제품을 더 빨리 개발·제조하고저 중국 산업생태계에 본격적으로 접목하고 있다.”고 말했다.올해 1월 폭스바겐의 최대 해외 연구개발쎈터가 중국에서 오픈했다. 약 10억유로를 투자한 이 프로젝트는 폭스바겐의 제품 개발 효률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비용 구조도 최적화했다 .외자는 중국경제와 세계경제의 공동 번영과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힘이다 . 일전 열린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외자 안정을 올해 경제업무의 중요한 력점으로 삼고 외자 유치와 활용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기위한 정책과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밝혔다 .

중국 관영 최신 수치에 따르면 올 1월 중국은 외국인 투자기업 4,588개를 새로 설립해 지난해 지속적으로 성장한 배경 속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74.4%나 증가한 상승폭을 보였다 . 비록 세계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전세계대외투자가 부진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외국기업이 선호하는 투자의 뜨거운 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올 1월 중국의 실제 외자사용액은1,127억 1,000만원으로 규모에 파동이 나타났다. 하지만 높은 기수(基数) 등 영향으로 외자유치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다소 하락하긴 했지만전월 대비 20.4% 증가해 중국에 대한외자의 투자의욕이 높아졌음을 보여주었다 .

더 깊이 분석하면 단기적인 투자유치 수치의 변동은 경제법칙에 부합되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 례를 들어 일부 주요 프로젝트는 운영 주기가 길어해당 년도 및 향후 몇년 동안의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 또한중국경제가 고도화됨에 따라 로동집약형이고 경쟁력이 약화된 일부 기업은 상응한 전환도 하고 있다 . 총적으로 말하면 중국시장의 거대한 발전기회와 성장잠재력을 두고 다국적 기업들이 떠나기는 쉽지 않다 .

투자유치 규모는 물론 투자유치 구조도 살펴봐야 한다 . 올 1월 중국 첨단기술산업은 391억 6,000만원을 유치해 실제 외자사용액의 34.7%를 차지했다 . 특히 첨단제조업의 실제 외자사용액은 40.6% 증가해 지난해 접어들어 지속되여온 산업구조 최적화와제조업의 성장 회복세를 이어갔다 . 이는 고품질 발전에 힘입어 외국인의 중국투자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있음을 보여준다 .

외자 래원지를 보면 올 1월 서방 발달국의 대 중국 투자가 크게 늘었다 .이중 프랑스와 스웨리예는 각각 25배와 11배 증가하고 독일이 211.8%, 오스트랄리아가 186.1%, 싱가포르가77.1% 증가했다. 이는 서방 언론의이른바 ‘중국에서 외자 철수론’이 터무니없음을 립증한다 .

그렇다면 외자기업들은 왜 ‘중국투자’를 늘일가?

영국 회풍그룹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를 받은 해외 기업중 87%가중국 관련 사업을 확장할 것이라고 답했다 . 그 리유로 중국경제의 지속적인회복과 초대형 시장 우세, 심층적으로통합된 공급망 등을 들었다 . 조사를받은 외자기업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제조업 우세 , 소비시장 규모 , 디지털경제 및 지속가능한 성장기회는 그들의 투자를 자극하는 주요 원동력이였다.

자본은 리득을 추구한다. 중국을택한 외자는 후한 수익을 올렸다 . 지난 5년간 중국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수익률은 약 9%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 회풍그룹의 경우 중국시장의급속한 성장에 따른 사업기회 덕분에2023년 중국 내지에서 10억딸라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

독일 지멘스의료 중화지역 총재 왕호는 중국은 대외개방을 지속적으로추진하고 비즈니스 환경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하여 그들의 투자사업에 강력한 보장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 특히최근 몇년간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여 회사의 디지털 혁신에 기회를 가져다주었다고강조했다.

중국무역촉진위원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를 받은 외자기업의약 70%가 향후 5년간 중국시장 상황을 락관적으로 보고 있고 90% 이상이 향후 5년간 중국내 투자 리익이지금과 비슷하거나 증가할 것이라고예상했다 .

중국의 외자유치 관련 정책이 속속발표됨에 따라 향후 중국의 외자유치규모와 세계에서의 점유률은 더욱 높아질 것이며 이는 중국시장을 깊이 경영하려는 외자의 자신감을 더욱 다져줄 것이다 ./국제방송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