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7版:국내·국제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일본, ‘결혼 빙하기’ 에 들어서

2월 16일 《일본경제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결혼자 수가 계속 감소되여 2023년에는 50만쌍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 코로나19 때문에 친구를 사귀고 데이트를 하는 기회가줄어든 데다 경제적 요인까지 겹쳐결혼을 못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다 . 일본 정부는2월16일 내각회의에서 저출산 대책을 보완한 내용이포함된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지만이것이 젊은이들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없앨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2019년 10월부터 소비세률 인상으로 소득한약 1조 5,000억 엔(약 100억딸라)을 3~5세 어린이의 무상보육에 사용하고 2020년부터 대학 학비 부담을 경감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럼에도 일본의 출생자 수는 계속 줄어2022년 이미 80만명 아래로 떨어져 관련 통계이래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상술한 대책의 효과가 좋지 않은리유중 하나는 미혼 청년들을 고려하지 않고 ‘육아 지원’에만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 2021년까지 15~19년 동안 결혼생활을 지속한 부부가최종 출산한 아기 수는 1.9명으로적은 편은 아니여서 결혼자 수의 감소가 저출산화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2월 하순에 후생(厚生)로동성은2023년 일본의 결혼자 수를 발표하게 되는데 50만쌍 미만일 가능성이높다. 일본 종합연구소의 전문가인후지나미타구미(藤波匠)의 추산에따르면 외국인 부부를 제외한 결혼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47만 6,000쌍으로 줄어 10년전에 비해 약 20만쌍이 줄었다 .

결혼자 수가 50만쌍을 밑도는 것은 1933년 이후 처음이다 .

이외 사람들은 결혼하고 싶어도결혼을 할 수 없다 . 그것은 이 ‘결혼빙하기’를 초래한 배후의 근본 원인이 젊은이들의 취업 불안정과 이에따른 소득 감소이기 때문이다 ./신화넷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