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 동부지역 시장에 두리안(榴莲)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과일 재배 농가인 사싯톤의 과수원도 두리안 수확으로 분주하다. 수십메터 높이의 두리안나무에서 작업자가 낫을 들고 두리안을 베면 나무 아래에 서있는 동료가 마대를 펴서 받아든다.
두리안은 열대 ‘과일의 왕’으로 불린다. 사싯톤의 고향인 짠타부리는 타이 동부의 핵심 두리안 생산지로 수도 방코크에서 약 250키로메터 떨어져있다.
사싯톤은 10년 넘게 두리안 사업을 해왔다. 그가 운영하는 두리안농장에는 2,000여그루의 두리안나무가 있다.
그가 운영하는 과수원의 두리안은 수확후 곧 린근 가공공장으로 운반된다. 수확한 두리안을 분류하고 무게를 재고 포장을 한 후 상차 작업까지 이 가공공장에서 이루어진다.
가공공장 책임자인 비라차이는 타이 두리안 수출에 있어 중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가공공장에서 가공된 두리안은 모두 중국으로 수출된다고 소개했다. “올해 이미 23개 컨테이너를 중국에 수출했다. 항공운송이 20%, 해상운송이 40%, 륙상운송이 40%를 차지하고 있다.” 비라차이의 말이다.
타이는 세계 주요 두리안 생산국이자 수출국중 하나다. 매년 대량의 두리안이 중국으로 수출된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이 수입한 두리안은 142만 6,000톤으로 그중 타이에서 수입한 규모는 92만 9,000톤이였다. 이는 전체의 65.15%를 차지하는 수치다.
아세안의 열대 과일은 운송, 저장 등의 제약으로 한때 중국 시장에 대량으로 들어오기 힘들었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중국—아세안자유무역구 건설이 추진되고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이 전면 발효됨에 따라 중국 서부 륙해 신통로 등 다수의 호련호통(互联互通) 프로젝트의 건설이 가속화됐다.
또한 다양한 통관 편의 조치가 지속적으로 도입돼 두리안 등 아세안 과일이 편리하고 효률적으로 중국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광서쫭족자치구 우의관해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우의관통상구를 통해 수입된 타이산 두리안은 28만 2,000톤, 101억 7,000만원 규모로 전년 대비 각각 162.4%, 163.2% 급증했다.
올 1분기 중국은 우의관통상구를 통해 18억 5,000만원에 달하는 4만 8,000톤의 두리안을 수입했다. 그중 타이산 두리안 수입량은 1만 3,000톤, 5억 7,000만원 규모로 집계됐다.
광서쫭족자치구 최대 과일도매시장인 남녕시 해길성농산물국제물류중심은 타이산 두리안의 하역지다.
광서우선원농업과학기술회사 모가명 총경리는 최근 매일 약 50톤의 타이산 두리안이 해길성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타이산 두리안이 진렬되자마자 많은 구매상이 몰려들었다. 이곳에서 판매되는 타이산 두리안은 대형 슈퍼마켓, 과일소매점, 전자상거래 플래트홈을 통해 중국 전역에 판매된다.
“올 들어 약 1,800톤의 두리안을 수입했다. 타이 과수원에서 수확한 두리안은 륙상운송을 통해 빠르면 3~5일 이내에 중국에 도착한다.” 모총경리는 앞으로 두리안 등 아세안 과일의 중국 시장 전망이 더 넓어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신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