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3版:민족풍정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나시족 상형문자 ‘동파문자’의 미

-운남 려강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

동파문자로 ‘행진중국’을 써서 보여주고 있는 나시족 상형문자 회화 체험관 관장 (왼쪽 )

일전 인민넷 취재팀은 운남성 려강시 나시족 상형문자 회화 체험관을 방문해 동파문자(나시족이 사용하는 상형문자)로 만든 예술품들을 마주했다. 이 예술품들은 지난 세월을 조용히 기록하며 한 민족의 번영 스토리를 담고 있었다.

동파문자는 나시족 전통 문자로 ‘살아있는 화석’ 문자로도 일컬어진다. 상고시기 나시족 조상들은 나무를 보면 나무에 그림을 그리고 돌을 보면 돌에 그림을 그렸다. 이 과정에 감정과 지식 그리고 경험이 구체적인 문자로 변천하게 되였다. 한획 한획, 한점 한점이 려강의 산닥나무로 만든 동파종이 우에 씌여지며 대대로 이어져온 것이다.

“나시족의 상형문자인 동파문자는 1,400여개 글자로 구성되며 기록 류형도 700여종에 달해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나시족 삶의 여러 측면을 기록하고 있다.” 나시족 상형문자 회화 체험관 관장 화윤원이 설명하는 말이다.

긴 세월 동안 동파문자는 나시족의 삶에 융합되여 려강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되였다. 현지의 나시족들은 동파문자로 간단한 메모, 장부 작성은 물론 편지를 쓰기도 한다. “동파문자는 려강의 문화기호의 일종으로 전세계에 려강의 아름다운 문화를 보여준다.” 이렇게 말하는 화윤원 관장은 “문자는 소리가 없지만 활력이 넘치는 생명을 부여해준다.”고 보충한다.

려강 관광이 개발되면서 동파문자도 회화, 패션, 문화창의 상품 등 여러 면에서 다양하게 매력을 뽐내고 있다. 현재 동파문자로 디자인된 문화창의 상품은 2,000여종에 달한다. 려강을 찾는 관광객들은 동파종이로 만든 노트를 구매하는데 동파문자로 속표지에 덕담을 써줄 것을 가게의 동파 문화 계승자에게 종종 요청해온다. 동파문자의 독특한 필법이 디자인과 융합되면서 예술성과 감화력 모두를 갖추게 된 때문이다.

/인민넷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