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자기한 기념품부터 참가 선수의 장비, 첨단 스포츠 기자재까지… 중국 기업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빠리올림픽 경기에 ‘출전’하고 있다. 올림픽 대목을 맞아 ‘중국제조’ 제품이 국제무대에 오르고 있다.
◇ 뜨거운 ‘올림픽 특수’
북경 왕부정에 위치한 리녕매장에선 탁구 시리즈 전문용품이 인기다. “이 시리즈 전문용품은 온라인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 빠리올림픽 국가대표팀의 유니폼과 동일한 모델이다.” 리녕매장 직원은 “친구에게 선물하기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다.”고 말했다.
리녕뿐만 아니라 안타(安踏) 매점에서도 경기복을 입고 복싱, 력기, 태권도 동작을 취한 인체 모델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안타 관계자는 한 의류를 가리키며 “이 티셔츠는 불티나게 팔려 온라인에선 이미 품절”이라면서 “오프라인에서도 구할 수 없는 사이즈가 많다.”고 설명했다.
‘올림픽 소비’ 열풍은 데이터로도 립증되였다. 온라인 할인 쇼핑몰 웨이핀후이(唯品会)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최근 ‘올림픽 동일 모델’ 등 관련 제품의 키워드 검색량이 급증하고 있다. 하계 소비 시즌에 올림픽 효과가 맞물려 트레킹 슈즈(越野跑鞋), 드라이핏 티셔츠(速干T恤), 폴로(Polo) 티셔츠, 아동 자외선 차단 의류 등 품목의 판매량이 크게 늘고 있다.
◇ 존재감 드러내는 ‘중국제조’
2023년부터 절강성 의오국제비즈니스타운의 스포츠용품업체에는 다량의 올림픽 관련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 기발, 펜던트(挂件), 운동복, 팔찌 등 올림픽 관련 제품이 바다 건너 빠리로 향했다. 의오해관의 통계에 따르면 올 1월—6월 의오의 스포츠 용품 및 장비 수출액은 50억 2,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3%나 늘었다. 그중 프랑스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빠리올림픽조직위원회의 통계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 마스코트의 80%가 ‘중국제조’이다. 각종 망원경, 응원봉, 응원수건, 열쇠고리 등 올림픽 경기 관련 제품도 주로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제품이다.
‘중국제조’뿐만 아니라 ‘중국 스마트 제조’도 눈에 띈다. 7월 26일, 세넬강에서 열린 2024 빠리올림픽 개막식에선 심수시 아이비썬(艾比森)의 ‘블랙 테크놀로지’(黑科技)가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세넬강 량쪽에 늘어선 아이비썬 LED 대형 스크린은 안정적이고 원활한 고화질 디스플레이에 개막식 현장을 담았다. 아이비썬 관계자는 “이번 올림픽에 50여개 스크린을 제공했다.”면서 “100여평방메터에 달하는 개막식 메인 스크린 역시 자사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중국 브랜드’ 수출 강세
빠리올림픽 ‘차이나 하우스’(中国之家)가 7월 24일 빠리에서 문을 열었다. 중국올림픽위원회 공식 피트니스기구(健身器材) 공급 업체인 수화스포츠는 ‘차이나 하우스’에서 다양한 피트니스 제품을 선보이며 중국 스포츠 과학기술 응용 분야의 선진 성과를 세계에 소개하고 있다.
수화스포츠 부총재 리효봉은 “올해 입점한 제품은 기능 면에서 뿐만 아니라 스마트, 엔터테인먼트 인터랙션(娱乐互动性), 과학적인 면에서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올림픽 특수를 맞아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는 ‘중국 브랜드’도 늘고 있다. 밀크티(奶茶)브랜드 바왕차지(霸王茶姬)와 시차(喜茶)는 빠리에 림시 매점을 열었고 판판(盼盼)식품은 2024 빠리올림픽 중국스포츠대표단 공식 후원사로 선정되였다. 알리바바 인공지능(AI) 에너지 관리 공구인 ‘에너지 엑스퍼트’(能耗宝)는 빠리올림픽의 모든 경기장에 도입되였다.
한 전문가는 올해는 스포츠대회 ‘풍년’이라면서 빠리올림픽, 남미주축구대회, 유럽축구대회 등 굵직한 스포츠 경기가 있어 기업의 브랜드 지명도와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뿐만 아니라 ‘중국 브랜드’의 수출 적기로 시장 점유률을 확대하고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