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등으로 치매 위험이 높은 사람도 심페 건강이 좋으면 장기적으로 인지능력이 향상되고 치매 위험이 35%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리예 스톡홀름 카롤린스카의대 연구팀은 영국인 6만 1,000여명의 심페 건강과 인지 기능 및 치매 위험을 12년간 추적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심페 기능은 순환계와 호흡계가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으로 나이가 들면서 골격근이 손실돼 점차 감소한다. 심페 기능은 20~30대에는 10년에 약 3~6%씩 줄지만 70대에 이르면 10년에 20% 이상으로 빠르게 감소한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09년─2010년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한 치매가 없는 39세─70세 6만 1,214명을 대상으로 심페 건강 상태와 인지 기능, 치매 위험을 최대 12년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등록할 때 6분간 고정식 자전거로 심페 기능을 검사해 상·중·하 그룹으로 나뉘였으며 신경심리 검사로 인지 기능을 측정하고 알츠하이머병 다유전성 위험 점수로 치매에 대한 유전인자도 검사했다. 추적 관찰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553명(0.9%)이였다.
분석 결과 심페 건강 상태가 좋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 기능이 높고 치매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페 건강 상위 그룹은 하위 그룹보다 모든 치매 발생률이 40% 낮았고 치매 발병 시기도 1.48년 늦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알츠하이머 다유전성 위험 점수가 중간 또는 그 이상이여서 치매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심페 건강이 상위 그룹에 속할 경우 치매 위험이 35%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심페 건강이 인지능력 향상 및 치매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소인이 큰 사람들에게도 심페 건강을 높이는 게 치매 예방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고 영국 바이오뱅크 참가자들이 일반 인구보다 건강한 경우가 많아 치매 발생 사례수가 과소평가됐을 수 있는 등 한계가 있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