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9일, 한양대학교 공자학원에서 2025년도 명사 강연회를 개최, 이번 강연회에서는 지린성 작가협회 회장인 소설가 김인순을 특별 초청했다.
김인순은 "내 《춘향》에는‘전’이 없다"라는 주제로 자신의 대표작인 장편 소설 《춘향》의 창작 배경과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작품의 깊은 내포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강연회는 한양대학교 공자학원 중국측 원장인 권혁률 교수의 진행으로 이루어졌다.
이번 강연은 2025년도 한양 공자학원의 첫 명사 강연회로,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수원대학교, 성결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등 여러 대학의 중국어 전공 교수들, 중앙대학교와 건국대학교의 한국 문학 전공 교수들외 작가와 중국 문학에 관심 있는 재학중인 대학원생 50여 명이 참가했다.
주제 강연 후, 김인순은 청중과 AI 번역, 문학 작품의 드라마 각색, 중한 가정 문화 역사 및 현황, 중국 소수민족 작가의 문학 창작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교류와 토론을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작가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춘향》이라는 문학 작품을 깊이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 현대 문학에 대한 이해가 더욱 심화되었다고 했다.
김인순은 중국 70년대 대표 작가로 현 중국작가협회 주석단 위원, 지린성 작가협회 주석이다.
그의 저서로는 장편 소설 《춘향》, 중단편 소설집 《복숭아꽃》, 수필집 《중생》등이 있으며 영화 작품의 각본으로는 《녹차》, 희극 작품의 각본으로는 《타인》, 《화피》 등이 있다.
장편 소설 《춘향》은 전국 소수민족 문학창작 "준마상"을 수상했으며, 장중문 문학상, 춘신 원작 문학상, 림금란 단편 소설상, 《소설월보》 백화상, 중국작가 출판 그룹상, 10월 문학상, 《작가》 금단편 소설상, 인민문학 "마오타이컵" 상, "마오타이컵" 《소설선간》 연간 대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의 일부 작품은 영어, 한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독일어 등 언어로 번역돼 독자들로부터 환영받았다.
/한양 공자학원, 지린신문 해외판 최화 기자
[본 문장은 지린신문 해외판 발표이기에 한국어 표기법을 그대로 두었음을 알려드립니다.]